우리는 지금까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상자를 만들어서 사용해왔음
>>> [변수] - [자료구조] - (함수) - (클래스) - (객체구조) - [file.txt] - [file.csv] -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 변수 저장을 위해서 (배열 등) |
함수 | 코드를 저장 |
클래스 | 코드, 함수를 저장 |
객체구조 | 클래스들 묶어서 구조화 |
txt | 객체 저장할 곳 |
cvs | 콤마로 훨씬 관리 편하게 |
데이터베이스 Database
한 조직의 여러 응용 시스템들이 공용하기위해 통합하고 저장한 운영데이터의 집합
>> 학교: (학생-수강신청, 교수-어쩌구, 교직원-저쩌구) 에서 학생의 정보(주민번호, 이름, 전화번호 등)을 공통으로 사용
▷ 특징
- 컴퓨터 시스템과 무관
- 데이터의 구조적 집합
- 일반적으로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축해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
- 데이터 모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는 달라질 수 있음
데이터베이스에 자료들 다 저장하고 다 뽑아쓰고
그랬더니 동시성, 보안, 성능 등의 문제 발생
그래서 사람이 직접 DB에 접근하지 않고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를 통해 접근하게 만들었음
▶ DBMS의 장점
-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가능
- 데이터의 정확성 올림
- 백업 및 복구 가능
- 표준화 용이
- 보안 보장
- 무결성 유지
- 중복된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가능
▶ DBMS의 단점
- 데이터를 넣을 때 마다 중복된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과정 필요
- 비용 발생
- 시스템이 조금 복잡해질 수 있음
▶ DB 모델 종류
- 계층형 데이터베이스 Hierarchical DBMS
- 객체형 데이터베이스 Object-Oriented DBMS
-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Network DBM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altional DBMS
관계형 DataBase (RDBMS)
테이블 형태로 구성된 DB
ex)
사원번호 사원이름 직급 부서이름 위치
0001 adam 대리 개발 서울
0002 Beny 부장 본부 인천
0003 Chen 사원 개발 서울
>>> 개발직과 서울이 중복되고 있음
>>> 데이터의 독립 특성을 규정해서 데이터 묶음으로 나눠주기 (정규화)
사원번호 사원이름 직급 부서코드
0001 adam 대리 10
0002 Beny 부장 20
0003 Chen 사원 10
부서코드 부서이름 위치
10 개발 서울
20 본부 인천
전체 : ERD
하나하나 : 테이블(ex 엑셀시트) 또는 엔터티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Base] SQL : DML (SELECT) (0) | 2023.08.29 |
---|---|
[OracleDB] Toad 설치 (0) | 2023.08.29 |
[DataBase] SQL (종류, 키, 자료형) (0) | 2023.08.29 |
[OracleDB] Oracle 학습용 SCOTT 계정 설정 (0) | 2023.08.29 |
[OracleDB] Oracle Database 19c 설치 (0) | 2023.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