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무결성 |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후에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가 정해진 제약조선을 항상 만족해야 함 |
일관성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 사이나, 특정 질의에 대한 응답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일정해야 함 |
회복 |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장애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함 |
보안 |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 또는 변경이나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함 |
효율성 | 응답시간의 단축, 시스템의 생산성, 저장 공간의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함 |
데이터베이스 확장 | 데이터베이스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함 |
데이터베이스 설계 순서
1. 요구 조건 분석 |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사람들로부터 필요한 용도를 파악하는 것 사용자에 따른 수행 업무와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 용도, 처리형태, 흐름, 제약조건 등을 수집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요구 조건 명세서 작성 |
2. 개념적 설계 [정보 모델링, 개념화] |
[개념 스키마, 트랜잭션 모델링, E-R 모델] 정보의 구조를 얻기 위해 현실 세계의 무한성과 계속성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통신하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랙잭션 모델링을 병행 수행 - 요구 조건 명세를 DBMS에 독립적인 E-R 다이어그램으로 작성 - DBMS에 독립적인 개념 스키마를 설계 → 개념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 |
3. 논리적 설계 [데이터 모델링] |
[목표 DBMS에 맞는 논리 스키마 설계, 트랙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자료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해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구조로 변환(mapping) 시키는 과정 - 개념세계의 데이터를 필드로 기술된 데이터타입과 이 데이터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되는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모델화 함 - 개념 스키마를 평가 및 정제하고 DBMS에 따라 서로 다른 논리적 스키마를 설계하는 단계 - 트랜잭션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함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면 테이블을 설계하는 단계 |
4. 물리적 설계 [데이터 구조화] |
[목표 DBMS에 맞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응용에 대해 처리성능을 얻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및 엑세스 경로를 결정함 - 저장 레코드의 형식, 순서, 접근경로, 조회가 집중되는 레코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방법을 묘사함 >> 고려사항 : 트랜잭션 처리량, 응답시간, 디스크 용량 등 |
5. 구현 | [목표 DBMS의 DDL로 데이터베이스 생성, 트랜잭션 작성] 논리적 단계 + 물리적 단계 -> 도출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파일로 생성하는 과정 - 사용하려는 DBMS의 DDL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기술한 후 컴파일하여 빈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 - 생성된 빈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데이터 입력 -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 작성 - 데이터베이스 접근을 위한 프로그램 작성 |
트랜잭션 분석 및 CRUD 분석
트랜잭션 ▼
https://treasurehunter-jt.tistory.com/47
CRUD :
Create 생성
Read 읽기
Update 갱신
Delete 삭제
CRUD 분석: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변화를 주는 트랜잭션의 CRUD 연산에 대해 CRUD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분석하는 것
CRUD 매트릭스:
구 분 | 회원 | 상품 | 주문 | 주문목록 | 제조사 |
신규회원 등록 | C | ||||
회원정보 변경 | R U | ||||
주문요청 | R | R | C | C | |
주문변경 | R | R U | |||
주문취소 | R D | R D | |||
상품등록 | C | C R | |||
상품정보 변경 | R U | R U |
트랜잭션 분석:
목적 -
CRUD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테이블에 발생하는 트랜잭션 양을 분석하여 테이블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양을 유추,
이를 근거로 DB 용량을 산정하고 DB 구조를 최적화 하는 것
트랜잭션 분석서:
단위 프로세스와 CRUD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작성
프로세스 | CRUD | 테이블명 | 컬럼명 | 참조 횟수 | 트랜잭션 수 | 주기 |
주문요청 | R | 회원 | 회원번호, 회원명, 주소 | 1 | 150 | 일 |
R | 상품 | 상품번호, 상품명, 재고량 | 1 | 150 | ||
C | 주문 | 주문번호, 일자, 회원번호 | 3 | 450 | ||
C | 주문목록 | 주문번호, 상품번호, 수량, 가격 | 5 | 750 |
- 단위프로세스 : 업무를 발생시키는 가장 작은 단위의 프로세스
- CRUD : 프로세스의 트랜잭션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영향을 주는 연산 4가지
- 테이블명, 칼럼명 : 프로세스가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명과 칼럼명
- 테이블 참조횟수 : 프로세스가 테이블을 참조하는 횟수
- 트랜잭션 수 : 주기별로 수행되는 트랜잭션 횟수
- 발생주기 : 트랜잭션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발생주기
'Computer Science > Study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 정규화 (0) | 2023.10.30 |
---|---|
데이터 모델 설계 (0) | 2023.10.26 |
API · REST API (0) | 2023.10.04 |
공부중 01 (0) | 2023.09.18 |
HTTP · URI (0) | 202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