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https://www.redhat.com/ko/topics/cloud-computing/iaas-vs-paas-vs-saas
https://aws.amazon.com/ko/types-of-cloud-computing/?WICC-N=tile&tile=types_of_cloud
약 어 | 뜻 | 키워드 |
IaaS | Infrastructure-as-a-Service | 인프라 |
PaaS | Platforms-as-a-Service | 플랫폼 |
SaaS | Software-as-a-Service | 소프트웨어 |
as-a-Service :
제3사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
→ 사용자는 코드, 고객 관계 관리와 같은 더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음
→ 각 유형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면 관리해야 할 온프레미스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감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IT 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온디맨드로 제공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
▼ 온프레미스 저장소 | 클라우드 저장소
온프레미스(On-premise)
온프레미스 저장소에서는 회사의 서버가 조직의 인프라 내에 호스트되어 있으며, 많은 경우 사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합니다. 서버는 회사와 사내 IT 팀 또는 IT 파트너가 직접 제어, 관리, 유지 및 조달합니다. 데이터와 기타 정보는 로컬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에 공유됩니다.
클라우드
라우드 저장소에서는 Microsoft와 같은 외부 서비스 공급자가 데이터를 호스트합니다. 클라우드 공급자가 모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기타 지원 인프라를 조달하고 자사의 데이터 센터에 설치 및 관리합니다. 비즈니스는 인터넷을 통해 PC, 웹 브라우저 또는 모바일 앱에서 서비스에 액세스하고 계정을 관리합니다.
출처)
IaaS
온프레미스 인프라에서 한층 발전한 유형
필요한 경우 제 3사가 스토리지와 가상화와 같은 인프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로 제공
사용자는 운영 체제 및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및 런타임을 담당
제공업체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서버, 가상화 및 스토리지의 관리와 액세스를 담당
제공업체가 사용자를 대신해 온사이트 데이터센터를 유지관리하거나 업데이트
대신,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또는 대시보드를 통해 인프라에 액세스하고 이를 제어
IaaS는 필요한 구성 요소만 구매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
→ 간접비가 낮고 유지관리 비용이 들지 않는 매우 경제적인 옵션
▶ 장점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의 구축 및 제거가 빠르고 유연
→ 사용자는 개발 환경에서 구축해야 할 인프라만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
→ 개발이 완료되면 사용을 중단하고 사용량에 대한 비용만 지불
▶ 단점
제공업체의 보안 문제 가능성
제공업체가 여러 클라이언트와 인프라 리소스를 공유해야 하는 멀티 테넌트 시스템 및 서비스 신뢰성
▶ 예시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업체
PaaS
전체 온프레미스 인프라 관리가 조금 더 발전한 형태
제공업체가 자체 인프라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호스팅하고
이러한 플랫폼을 사용자에게 통합 솔루션, 솔루션 스택 또는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로 제공
개발자와 프로그래머에게 유용한 PaaS를 통해
사용자는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와 관련된 인프라 또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유지 관리할 필요가 없음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작성, 빌드, 관리하지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하드웨어 유지관리와 같은 번거로움이 사라짐
→ 개발자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빌드 및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방법
→ 개발자는 기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자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음
→ 자체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코드의 양을 줄일 수 있음
▶ 예시
AWS Elastic Beanstalk, Heroku 및 Red Hat OpenShift
SaaS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가장 포괄적인 형식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모든 애플리케이션은 제공업체가 관리하며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제공
제공업체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버그 수정 및 기타 일반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작업을 처리하며,
사용자는 대시보드 또는 API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연결
→ 개별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그룹 액세스가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
▶ 장단점
시간과 유지관리를 줄일 수 있지만
제어, 보안 및 성능과 관련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신뢰할 수 있는 제공업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
▶ 예시
Outlook이나 Gmail과 같은 웹 기반 서비스가 지원되는 이메일 계정이 있다면
어디서든 컴퓨터에서 계정에 로그인하고 이메일을 수신할 수 있음
소프트웨어 설치 및 업데이트를 처리할 인력이나 대역폭이 없으며
최적화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거나 주기적으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소기업에 매우 유용한 옵션